본문 바로가기
책을 읽고 나서

[책 감상/책 추천] 웬들린 밴 드라닌, <플립> - 소녀와 소년, 첫사랑, 자존감, 동화 같은 복수?

by Jaime Chung 2018. 9. 5.
반응형

[책 감상/책 추천] 웬들린 밴 드라닌, <플립> - 소녀와 소년, 첫사랑, 자존감, 동화 같은 복수?

 

 

열세 살 브라이스의 소원은 앞집 소녀 줄리아나가 자신을 그냥 내버려 두는 것이다.

그녀는 초등학교 2학년 때 그가 이사 온 날부터 그의 파란 눈에 반해서 자그마치 6년을 그를 쫓아다녔다.

물론 브라이스도 그냥 가만히 있었던 건 아니다. 반에서 제일 예쁜 셸리에게 데이트를 신청해 자신은 줄리에게 관심이 없음을 보이려고 해 보았으나 이는 씨알도 먹히지 않았다. 줄리는 셸리와 싸웠고, 이제 브라이스는 혹을 하나 떼어내려다가 하나만 더 붙인 셈이 되었다.

중학생이 되었던 어떤 날, 줄리는 언덕에 자리 잡은 플라타너스 나무를 사람들이 잘라 버리지 못하도록 맨 꼭대기로 올라갔다.

그리고 다른 아이들에게도 나무 위로 올라오라고 했지만, 그녀처럼 열성적으로 나무를 지키려는 사람은 없었다.

결국 줄리의 아버지가 호출되어 줄리를 어르고 달래어 내려오게 한 뒤에야 나무를 베어 낼 수 있었다.

나무를 지키려던 줄리의 노력은 동네 신문 기사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도통 말이 없으신 브라이스의 할아버지도 신문에서 그 기사를 읽고는 브라이스에게 줄리는 어떤 아이냐고 물으신다.

브라이스가 보기에 줄리는 그냥 귀찮은 여자애, 종잡을 수 여자애일 뿐인데.

그렇지만 왜 나무가 베인 후 그 애가 학교에 나오지 않은 게 신경이 쓰이고, 그 애가 나온 신문 기사를 간직하고 싶은 것일까? 이 이상한 느낌은 도대체 뭘까?

 

롭 라이너(Rob Reiner) 감독의 영화 <Flipped(플립, 2010)>의 원작 소설이다.

난 이 영화를 1, 2년 전에 본 걸로 기억한다. 그땐 그냥 소년과 소녀의 풋풋한 첫사랑 이야기라고, 애들이 참 귀엽다고만 생각했다.

그런데 이제 이 원작 소설을 읽으니, 전과는 감회가 다르다. 으레 이런 글에 쓰는 표현으로 '감회가 색다르다'라고 하는 게 아니라, 진짜 감상이 예전과는 완전히 다르다.

내가 영화를 보고 1, 2년 사이에 이런 비슷한 경험을 해서 그런가, 보는 눈이 완전히 달라졌다.

위에도 줄거리를 썼지만, 이건 브라이스가 줄리가 자신을 좋아하는 건 알지만 그녀의 가치, 매력은 알지 못하다가 모종의 사건을 통해 줄리네 집안에 대해 알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그동안 줄리는 역시 모종의 사건을 통해 자신이 브라이스를 외모만 보고 좋아하고 있었음을 깨닫고, 사실 그는 (줄리 말마따나) '겁쟁이에 고자질쟁이'임을 알게 된다.

브라이스는 뒤늦게 줄리를 좋아하게 되지만, 자신을 좋아하던 그 애의 마음이 벌써 식어 버린 건 아닌지 조마조마하다.

결국 브라이스는 자신이 잘못한 여러 가지 일에 대해 사과하고, 줄리도 이제부터는 사람을 외모만이 아닌 내면도, 있는 그대로를 보겠다고 다짐한다.

익숙하게 들리지 않는가? 우리 모두 한 번쯤 누군가를 짝사랑하고, '아, 저 사람도 나처럼 이렇게 사랑에 마음 아파 했으면!' 하고 바란 적이 있을 것이다.

최고의 복수 아닌가, 나는 그 사람을 더 이상 사랑하지 않는데 그는 나와 사랑에 빠져서 나에게 못되게 군(나를 사랑하지 않는 상태에서 한 일은 날 도와준 일이라고 해도 내 마음을 받아주지는 않았으므로 결국 못되게 군 것이나 마찬가지다) 걸 후회하게 된다면!

이건 그런 인지상정을, 어린아이의 시점에서 풀어 낸 것 같다.

물론 극 중 줄리가 일부러 브라이스에게 그런 마음을 먹는 건 아니고, 실제로 사건이 일어나는 것도 그런 의도와는 거리가 멀다.

그냥 어쩌다 보니, 둘의 상황이 '역전'될 뿐이다(이것과 책/영화의 제목에 대해 해야 할 이야기가 있는데, 이따 하겠다).

 

하지만 살면서 어디 그런 일이 흔하던가? 내가 간이며 쓸개며 다 빼 줄 것처럼 잘해 줘도 나에게 쌀쌀하게 구는 사람은 계속 그냥 그렇게 나를 대한다(아니면 살짝 태도를 바꿔서 겉으로는 미소를, 속으로는 나를 더 이용해 먹을 생각만 할 뿐).

결국엔 내가 지쳐서 나가떨어지고, 그게 끝이다. '나의 가치를 몰라 주던 사람이 내가 떠나고 나니 안 될 것 같아서 나에게 애걸하며 돌아오라고 하더라' 이런 일은 없다는 뜻이다.

내가 너무 비관적인 거 아니냐고? 날 좋아하지는 않더라도 날 그렇게 '호구' 취급하지는 않는 사람도 있지 않겠느냐고?

맞는 말이다. 정말 좋은 사람이라면 내 마음에 같은 감정으로 보답할 수는 없어도 적어도 날 '어장 관리' 하지는 않을 것이다.

나름대로 돌려서라도 '네 마음을 받아 줄 수 없다'라고 표현을 하거나, 적당히 선을 긋겠지.

그럼 나는 울더라도 그 사람의 뜻을 존중해서 마음을 접을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이야기하는 이 책은 그런 얘기가 아니다.

브라이스는 줄리가 마음에 들지 않았고, 또 그녀의 마음이 다치지 않도록 적절히 그녀를 단념시켜야겠다고 생각하는 그런 '좋은 사람'이 아니었다.

브라이스는 줄리가 직접 키운 닭이 낳은 계란을 받아서 그걸 그냥 쓰레기통에 몰래 버린다. 2주간 매주.

'네 닭장이 더러우니 계란에도 살모넬라 균이 있을지 몰라 먹을 수 없다'라는 말을 줄리에게 못 해서다. 이런 사람을 어떻게 '내 마음이 아프지 않게 적당히 거절할' 사람으로 볼 수 있겠는가?

(애초에 셸리를 끌어들어 줄리를 떼어내려 한 것도 비겁한 일이었음을 말할 것도 없다).

그래서 내가 그렇게 '비관적인' 시나리오만 읊었던 것이다. 브라이스는 애초에 좋은 사람이 아니다.

줄리에게 잘못이 있다면 그저 얼빠여서 브라이스의 반반한 얼굴을 보자마자 반했다는 것밖에 없다.

 

그래서 이 소설은 줄리가 자신의 자존감을 찾아 나가는 내용으로 읽힌다.

줄리는 집이 가난해도, 데이비드 삼촌(아빠의 동생)이 지적 장애가 있어도 그걸 부끄러워하지는 않는다.

앞뜰을 가꿀 경제적 여유가 없는 아빠를 대신해 브라이스네 할아버지와 같이 앞뜰의 잔가지를 정리하고 잔디를 심는다.

줄리는 생기가 넘치고, 똑똑하며, 모든 일에 열심인 좋은 아이다. 브라이스 같은 덜떨어진 모질이에게는 과분한 애다.

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나는 브라이스가 여성 혐오자, 또는 최소한 공감 능력 없는 애처럼 보이더라.

브라이스의 누나 리네타가 고스(goth) 스타일로 차려입고 화장한 걸 '너구리 같다'고 표현한 거야, 뭐 원래 남매는 서로 '예쁘다'라거나 '잘생겼다'라고 생각 안 하는 관계니까(그게 정상이지) 넘어갈 수 있다.

대신 브라이스의 엄마 팻시가 브라이스의 할아버지 쳇을 통해 줄리의 삼촌이 지적 장애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장면을 보자.

이는 유전적인 문제가 아니고, 줄리네 삼촌이 태어날 때 탯줄이 목을 졸라 후천적으로 생긴 것이다.

이 이야기를 듣고 팻시는 감정적으로 격해져서 브라이스의 아버지 릭과 싸운다.

엄빠가 싸울 때 할아버지는 브라이스에게 "네 엄마가 왜 저리 예민하게 구는지 아느냐?" 하고 묻는다.

"그…… 글쎄요." 나는 건성으로  웃으며 말했다.

"여자라서요?"

알고 보니 브라이스도 태어날 때 목에 탯줄이 감겼던 것이다. 다행히 목을 조를 정도는 아니어서 괜찮았지만.

자신의 아들이 줄리네 삼촌과 비슷한 상황에 처할 수도 있었기에 팻시는 지적 장애가 유전일 거네 어쩌네 하는 남편 릭에게 유달리 예민하게 반응한 것이다.

그런데 브라이스 본인은 자기도 그렇게 될 수 있었는데 아무 생각 없이 엄마가 여자라 히스테리를 부리는 건 줄 알고 있었다.

이 장면에서 진짜 브라이스에게 뺨을 한번 갈겨 주고 싶었다. 모르겠으면 그냥 '모르겠는데요.' 해도 될 것을 가지고, 뭐? '여자라서요?'

아주 같잖다, 진짜. 어린 게 벌써부터 어머니를 비롯한 여자 보기를 우습게 알지.

나는 솔직히 작가가 의식적으로 브라이스를 여성 혐오자로 설정한 건 아니지만, 그 나이 또래의 남자애들을 있는 그대로 잘 묘사하다 보니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본다.

책 후반이 되면 '바구니 소년'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걸 설명하는 브라이스의 태도도 아주 가관이다.

바구니 소년이란 일종의 '노예팅'으로, 스무 명의 소년이 점심거리가 담긴 바구니를 들고 강당에 오르고 이 소년과 점심을 먹을 기회는 경매에 부쳐진다.

여학생들이(아니면 게이 남학생들도? 책 내에는 이에 관한 언급은 없지만) 내는 이 돈은 학교 후원금으로, 학교 시설을 개선하는 데 쓰인다.

브라이스는 바구니 소년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여자애들은 바구니를 보고 값을 부른 것 같지 않았다. 솔직히 말하자면, 무슨 고기가 좋은지 골라 먹는 정육점이나 마찬가지였다.

와, 정말? 좋겠다, 너는 바구니 소년 행사 때만 '정육점 고기' 취급을 받으면 되잖아. 여자는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평생 그런 취급을 받고 성적으로 대상화된단다.

브라이스가 아직 어려서 왜 이런 행사를 싫어하는지 유창하게 설명하진 못하지만, 아마 우리가 마이크를 들이대고 이유를 묻는다면, '쪽팔리니까요.'라고 대답할 게 틀림없다.

뭐가 쪽팔리냐고? 남자애가 여자애들처럼, 상황에 대한 통제력 없이 남의 처분을 기다려야만 하는 처지에 처하는 게 쪽팔리다는 거지.

남자가 '선택'해야 하는데 여기선 그렇지 못하고 선택'당하니까'.

내가 왜 브라이스를 여성 혐오자, 또는 최소한 공감 능력이 전무한 녀석이라고 했는지 이해가 되시는가?

'제니'라는, 키가 180cm가 넘는 여자애에 대한 묘사는 굳이 꺼낼 필요도 없다. 이것만 봐도 어린 게 벌써부터 여자를 우습게 본다는 점이 이렇게나 명확하니까.

 

많은 이들이 영화를 보고서 '아, 쟤네 왜 첫 뽀뽀 안 해!' 하고 안타까운 소리를 내뱉었을 것 같다.

사실 나도 그랬다. 그때 난 브라이스가 '사랑받을 가치가 없는' 애인 줄 몰랐으니까.

그렇지만 이번에는 이 책을 읽으면서 데이빗 헨리 황(David Henry Hwang)의 희곡 <M. Butterfly(M. 버터플라이)> 중 한 구절이 떠올랐다.

"I have a vision. Of the Orient. That, deep within its almond eyes, there are still women. Women willing to sacrifice themselves for the love of a man. Even a man whose love is completely without worth.

(나는 이러한 환상을 가지고 있다. 동양의 환상. 그 깊은 아몬드 모양 눈 안에는 여전히 그런 여자들이 있다고. 한 남자의 사랑을 위해 기꺼이 자신을 희생할 여자들이. 심지어 그 남자의 사랑이 전혀 가치 없는 것이라 해도.)

정말이지, 브라이스 같은 자의 사랑을 왜, 무엇하러 원하겠는가? 하지만 자존감이 없으면 그까짓 가치 없는 사랑도 구걸하게 된다.

물론 이건 인격이 완전히 성숙하지 못한 아이들의 이야기이므로, 정말 얘들을 여성 혐오자라든가 공감 능력이 없다고 부를 순 없다.

나중에 브라이스가 줄리에게 자기가 한 일에 대해 미안하다고 사과하기도 하고(그렇지만 여자를 우습게 본 것에 대해서는 아니다).

사람들은 '여자가 더 많이 좋아하면 안 된다'라든가, '여자가 고백을 먼저 하면 그 커플은 오래 못 간다'고들 하는데, 난 그런 말을 주워섬길 생각은 아니다.

난 남녀 사이의 골을 깊게 만들고 싶지도 않고, 남자라면 이래야 한다, 여자라면 저래야 한다고 말하려는 것도 아니다.

다만 내가 말하고자 하는 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상대보다 자신을 더 사랑하라는 것이다.

자기 자신을 아끼고 사랑한다면, 남에게 그따위 취급을 받도록 허락하지 않을 것이다.

사랑은 그렇게 상대를 신발 매트처럼 밟고 다니는 게 아니다. '헌신'한다고 '헌신짝'처럼 버리는 것도 아니다.

마지막에 줄리가 자신이 얼빠였음을 깨닫고 사람 안의 내면을 보기로, 이제는 브라이스와도 '진짜 대화'를 나누며 정말로 그를 알아가겠다고 다짐해서 나도 가슴을 쓸어내리고 책을 덮을 수 있었다.

줄리처럼 사랑스러운 소녀는 물론이요, 이 세상 그 누구도 정당하지 못한 대접을 받으면서도 그 사람의 사랑을 갈구해야 할 필요는 전혀 없다. 그래야 하는 사람은 없다.

브라이스에게 '푹 빠져' 있던(flipped) 줄리가 성장해 브라이스와 상황이 '뒤바뀌(flipped)'어 다행이다.

맘 같아서는 브라이스도 줄리에게 좀 더 목 매고 자신이 얼마나 형편없는 사람인지 더 철저히 깨닫기를 바라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내 개인적 경험으로 인한 욕망이 투영된 바람에 지나지 않는다.

그냥 브라이스나 줄리나 동등한 주체가 되어 대화를 나누고 좋은 친구가 되기를 바란다. 이 책이 끝난 후 뒷이야기를 내가 쓸 수 있다면 그렇게 쓸 것이다.

짝사랑해 본 사람들, 자존감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 그리고 '그도 나를 사랑하기를, 그래서 나처럼 똑같이 아파 보기를' 하고 바란 적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반응형